본문 바로가기

스텔라의 미국이야기/재미있는 미국문화

한국인이 미국 병원에 가면 속이 터지는 이유

반응형

제가 미국 간호사가 되기 전, 미국 병원에 갈 때마다 항상 궁금했던 것이 있습니다.

 

제가 여기서 말하는 병원은 대형병원이 아닌 갑자기 아플때 예약없이 갈 수 있는 의원 개념의 Urgent care인데요, 감기가 걸려서 Urgent care에 갈 때마다 항상 "미국 병원은 왜이렇게 답답하고 느릴까?" 라는 생각을 갖고 있었어요.

출처: https://medvest.com/projects/urgent-medcare-meridianville-al/

평범한 미국 Urgent care의 모습이에요!

 

미국에 살며 같은 한국인들로부터 미국 병원은 한 번 갈 때마다 답답해서 속 터진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고, 미국에 사는 한인 유튜버들의 동영상을 보면 미국병원은 답답하고 느려서 불편하다는 이야기를 쉽게 들을 수 있는 걸 보면 저만의 생각은 아닌 것 같아요.

 

특히, 미국 간호사가 되고 나서 주변 사람들로부터 "미국 병원은 도대체 왜 이러냐?"는 불평불만을 정말 많이 들었거든요.

 

제가 미국 대학에서 간호학과를 다니고 미국 간호사가 되면서 왜 동네 의원을 포함한 모든 미국 병원은 느리고 답답할 수 밖에 없는지 알게 되었는데, 그 이야기를 해 드릴게요.

 

1. 언어가 달라요!

 

첫번째는 너무 뻔한 이야기 이지요?

 

미국에서 영어를 잘 하지 못해도 대부분의 큰 병원에는 화상 통역시스템 또는 전화 통역시스템이 있어서 큰 병원에 갔을 경우엔 언어의 장벽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래도 간호사나 의사로부터 직접 말을 듣지 못하고 화면속의 통역사나 전화를 통해 한박자 늦게 말을 들어야 하니 시간이 좀 더 걸리고 답답 할 수 는 있어요.

 

문제는 통역시스템이 없는 동네의 조그만한 의원인데요, 아픈것도 서럽고 영어도 익숙하지 않은데 의사와 간호사는 낯선 의학용어들을 쏟아내니 알아듣기 힘들 수 밖에 없지요.

 

제가 간호 대학을 다닐 때 그나마 영어를 할 줄 아는 환자의 가족이 있더라도 꼭 전문 의료통역사를 이용해야한다고 배웠지만 현실에선 불가능 할 때가 있는데요, 의사와 간호사가 환자의 말을 알아듣기 위해 노력하고 쉽게 설명하려고 노력한다고 하더라도 답답 할 수 밖에 없어요.

 

저도 미국 공립 고등학교 교환학생으로 처음 미국에 왔을 때 아파서 Urgent care에 갔다가 말이 안통해 너무 힘들었거든요.

 

그때 의료진분들이 손짓, 발짓, 구글번역기 등을 총 동원해 저와 소통하려고 노력하시는 모습이 참 고마웠고 이때부터 미국 간호사의 꿈을 꾸기 시작했어요.

 

병원에 의료 통역 시스템이 없다면 영어를 잘 하는 지인을 데리고 가는것도 방법이랍니다.

 

그래도 의료진들은 여러분들과 소통하려고 노력할테니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미국 병원에서 일하는 의료진들은 영어를 잘 못하는 환자들을 대하는것에 익숙하니까요!

 

 2. 병원 시스템이 달라요!

 

여러분들이 아플때 가는 한국의 동네 의원들과 병원들을 생각 해 보세요!

 

한국에서는 환자가 의사가 있는 진료실로 들어가지만 미국 병원은 반대랍니다.

 

접수를 한 뒤 알러지는 없는지, 병원에 왜 왔는지, 평소 지병은 없는지 간단한 서류를 작성하고 기다리고 있으면 한국과 마찬가지로 이름을 부르는데, 간호조무사, 간호사, 또는 의료보조(Medical assistant)가 진료실로 안내를 해주며 왜 병원에 왔는지 물어보고 혈압, 맥박, 체온 등 바이탈 사인을 측정합니다.

 

그러면서 "Dr. Smith will be here shortly! (스미스 의사선생님이 곧 오실거예요!)" 라고 말하며 저를 혼자 남겨놓고 진료실을 나갑니다.

 

그런데 정말 의사선생님이 "곧" 오실까요?

 

교환학생 시절 아파서 호스트맘과 함께 Urgent care에 갔을 때, 진료실에 앉아 혼자 한시간 넘게 의사를 기다렸던 적도 있어요.

 

대기실에 사람이 없어서 별로 안기다려도 될 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쭉 뻗은 복도의 양 옆이 다 환자들이 있던 진료실이였던거죠.

 

그렇게 오랜 기다림이 끝나면 약처방을 할 수 있는 의사, 전문간호사 (Nurse Practitioner), 또는 의사보조(Physician Assistant)가 들어와서 진료를 하고 약을 처방해 준답니다.

 

(Urgent care의 경우 랜덤이지만 특정한 의사, NP, 또는 PA를 예약을 한 경우나 주치의를 예약하고 간 경우는 본인이 예약한 의료진이 들어옵니다.)

 

한국의 병원은 보통 5분도 안돼 진료가 끝나는데, 미국 병원의 의료진들은 정말 친절하고 꼼꼼하게 하나하나 다 신경써주고 환자의 얘기도 들어주느라 진료시간이 한국에 비해 몇 배는 더 걸린답니다. 

 

제가 미국 의료진들은 꼼꼼하고 진료시간이 길다는 이야기를 하면 또 한국의 진료는 성의 없다는 댓글이 달릴 것 같은데, 미국에서 감기가 걸렸을 때 의사선생님 얼굴 한번보는데 보험이 있으면 10만원 내외, 보험이 없으면 20만원 내외입니다.

 

또한 한국에서는 의사가 환자의 이야기를 들으며 약을 처방하지만, 미국에서는 환자의 진료실을 나가고 다음 환자의 진료실로 가기 전 차팅도 하고 처방전을 쓰거나 약국으로 처방전을 직접 보내야 하기 때문에 여기서도 시간이 더 걸리고요.

 

3. 똑같은 질문을 자꾸 반복해요!

 

갑자기 아플 때 가는 Urgent care나 예약을 잡고 가는 동네 병원에 경우 접수를 하고 나면 내원이유, 알러지 유무, 평소 앓고 있는 지병, 집에서 먹고 있는 약, 가족의 건강력 등을 적어야 하는 서류를 주는데요, 간호조무사, 간호사, 또는 의료보조(Medical assistant)가 진료실로 환자를 안내하고 바이탈 사인을 재면서 어디가 아파서 왔는지, 알러지는 있는지, 앓는 질병이나 먹고 있는 약이 있는지를 다시 한번 물어봅니다.

 

여기서 끝 일까요?

 

아니죠! 바이탈 사인을 재고 혼자 진료실에 앉아있으면 한참 뒤에 그 날 진료를 봐줄 의사, 전문간호사 (Nurse Practitioner), 또는 의사보조(Physician Assistant)가 들어와서 똑같은 질문을 그대로 다시 한번 물어봅니다.

 

큰 병원에서는 어떨까요?

 

제가 일하는 병동 같은 경우 대부분의 환자는 응급실을 통해 입원하거나 수술실을 통해 입원합니다.

 

그곳에서 내원 수속을 할 때 간호사가 내원이유, 앓고 있는 지병, 수술 경험, 알러지 유무, 마취 경험, 집에서 먹고 있는 약, 집에서 안전하다고 느끼는지(가정 폭력을 겪고 있는지), 술/담배/마약은 하는지, 누구랑 어디에 사는지 등등 30분 분량의 질문을 Open-ended question (네, 아니오로 대답을 할 수 없는 개방형 질문) 로 환자에게 물어봅니다.

 

환자가 저희 병동으로 입원을 하게 되면 똑같은 질문을 그대로 다시한번 물어보는데요, 느긋함에 익숙한 미국인 환자들도 아까 응급실에서 이미 대답 했는데 이 병원은 전산시스템도 없어서 똑같은 질문을 다시 하는거냐고 짜증을 내는 경우도 많습니다.

 

저도 간호사가 되기 전 감기 때문에 Urgent care를 몇 번 방문했을 때, 의료진들끼리 서로 정보 공유도 안하고 전산시스템도 없는건지 너무 궁금했어요!

 

응급실 간호사가 차팅 해 놓은 것을 보면 이미 다 전산시스템에 환자가 대답한 내용이 나와 있지만 혹시나 하는 마음에 물어보는 거예요.

 

실제로 환자에게 약이나 음식 등에 알러지가 없는지 물어봤을 때 없다고 했다가 제가 많은 사람들에게 알러지를 유발하는 약이나 음식들을 대면서 "페니실린, 몰핀, 라텍스, 조개, 달걀, 새우, 땅콩 등에 알러지 없는거 맞죠?" 라고 물어보면 "아, 저 페니실린에 알러지 있어요."라고 대답하는 경우도 많거든요.

 

음식 알러지 유무도 굉장히 중요한데요, 그 이유는 달걀에 알러지가 있으면 독감백신을 맞을 때 조심해야 하고 갑각류 알러지가 있으면 조영제에 알러지가 있을 확률이 일반인보다 높다고 해요.

 

환자들 중에는 앓고 있는 지병이 없는지 물었을 때 고혈압만 있다고 대답했다가 환자가 집에서 가져온 약들을 보면 당뇨약이 있는 경우도 정말 많아요.

 

이렇게 간호사가 응급실에서 한 번, 병실에 올라와서 한 번 물어보고 나면 의사가 와서 다시 한번 확인합니다.

 

의사가 이미 환자가 병동으로 올라오기 전 응급실에서 물어봤을 수 도 있고요.

 

환자들에게 안전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빠짐없이 정보를 받아야 하고 미국은 워낙 소송이 많은 소송의 나라이기 때문에 소송에 걸리지 않기 위해 환자에게 계속해서 확실히 알러지가 없는지 등 꼭 필요한 정보를 계속해서 물어보는거랍니다.

 

환자가 입원을 하면 하루에 적으면 2번, 많게는 6번 이상 약을 먹는데, 이미 전산에 알러지가 없다고 나와있어도 약을 줄 때마다 "What are you allergic to?", "Are you allergic to anything?" 이라고 환자에게 물어보며 알러지 유무를 계속해서 확인한답니다.

 

간호대학에서 실제로 이렇게 배우고 병원 프로토콜도 마찬가지인데요, 미국에는 정말 별의 별 알러지를 가진 사람이 많고 알러지 때문에 죽는 경우도 실제로 있거든요.

 

제 환자중에 귀가 아파서 응급실에 내원했다가 조영제 알러지 반응 때문에 MRI도중 심장마비가 여러차례 와서 중환자실과 병실을 왔다갔다 하다 2주만에 돌아가신 경우도 있었어요.

 

MRI 결과는 단순한 중이염이였고요.

 

응급실에서 간호사와 의사가 알러지는 있는지, 마약은 하는지 분명 물어봤을 텐데, 조영제에 알러지가 있는건 몰랐다고 쳐도 환자가 마약을 하는데도 안한다고 대답했더라고요.

 

마약이 조영제에 영향을 미쳤다고 단정 할 수 는 없지만 영향을 미칠 수 도 있는건 분명하거든요.

 

4. 차팅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려요!

 

마지막으로 제가 언급하고 싶은 내용이 또 있답니다.

 

한국 병원에서도 마찬가지일거라 생각하지만 소송의 나라 미국에서 제 간호사 면허를 지키려면 차팅은 정말 중요하답니다.

 

간호사가 환자의 혈당을 쟀는데 혈당이 너무 낮게 나와서 어떤 처치를 하고 의사에게 알린 것, 수술한 환자가 수술 후 몇 시간만에 얼마의 소변을 본 것, 수술한 환자에게 호흡 운동을 교육한 것, 수술한 환자가 침대에서 일어나 복도를 걸은 것, 환자가 환자 교육을 거부한 것, 환자의 심장박동에 변화가 있었던 것 등 사소한 것 하나부터 중요한 것 모두 차팅으로 남겨야 하지요.

 

아무리 환자에게 교육을 잘했고 좋은 간호를 제공했어도 차팅이 없으면 안한거예요.

 

간호사가 널스 스테이션에 가만히 앉아서 컴퓨터를 보고 있으면 한가하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으시겠지만, 의사가 남긴 환자에 대한 차트를 읽고, 제공한 간호서비스나 환자 상태에 대해 차팅을 하고 있는 것 이랍니다.

 

근무를 시작하며 환자의 머리부터 발끝까지 건강사정을 한 내용과 사소한 일 하나 부터 제 근무 시간동안 있었던 중요한 일들까지 차팅하고, 혹시 빠진 내용이 없는지 확인하느라 시간이 꽤 걸리는데, 미국 병원에 입원했을 때 간호사가 컴퓨터 앞에 앉아만 있고 빨리 오지 않아서 답답하더라도 조금만 이해 해 주세요!

 

응급상황이나 별로 중요하지 않은 차팅을 하고 있을 경우엔 당연히 간호사가 환자에게 바로 달려가겠지만, 큰 일이 있었어서 간호사가 중간에 일어날 수 없는 중요한 차팅을 하고 있을 수도 있으니 물을 갖다달라는 부탁이나 중요하지 않은 요구사항은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한국과 미국의 먼 거리만큼이나 다른 미국 병원이야기, 재미있게 읽으셨나요?

 

한국의 "빨리 빨리" 문화에 익숙한 한국인들은 미국 병원에 가면 느리고 답답해서 속이 터질 수 도 있지만, 환자에게 최상의 의료 서비스를 가장 안전하게 제공하기 위한 의료진들의 마음이라는 것을 알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래의 공감버튼을 눌러 더 좋은 글을 쓸수 있도록 스텔라를 응원해주세요!

공감과 댓글은 로그인 없이도 가능합니다.

반응형